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직접 겪어보고 배운 핸드폰 싸게 사는 법

직접 겪어보고 배운 휴대폰 싸게 사는 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휴대폰 싸게 사는 법

 

고수분들은 당연히 잘 아시겠지만 주위에 보니 휴대폰 그냥 대리점에서 막 사시는 분들도 적지 않더라구요.

 

 

저도 뭣도 모를 때 그냥 휴대폰 대리점 직원의 달콤한 말에 말도 안 되는 요금제 3년 약정에 부가서비스 가입조건으로 핸드폰을 구매했던 바보 같았던 때가 있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대리점은 소고기 파티 제대로 했겠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3년 약정 다 채운 후에는 진짜 지독하게 알아보고 최대한 싸게 살 수 있는 방법을 찾아다녔습니다.

 

 

진짜 그 과정에서 방법도 많고 가격도 천차만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생각할 때 핸드폰 싸게 사는 법은 두 가지에서 선택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자급제폰 구매하여 알뜰요금제 사용하기.

 

자급제폰: 통신사(SK, KT, LG U+)등을 거치지 않고 전자제품 오프라인 매장이나, 오픈마켓(쿠팡, 11번가, 옥션 등)에서 공기계 형태로 판매되는 모바일 단말기.

 

자급제폰

보통 휴대폰을 구매하는 패턴이 대리점을 통해 통신사의 특정 요금제(5G 같은)를 일정 기간 의무적으로 사용하느 약정에 부가서비스 몇 개 가입해서 공시지원금을 받고 구매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 쓸데없이 비싼 요금제를 강제로 가입해야 하고, 공시지원금을 받으면 선택약정 25% 혜택도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자급제폰을 구매하면 유심칩만 갈아 끼우면 즉시 사용 가능하고, 쓸데없이 비싼 요금제(5G 같은)나 부가서비스 가입 없이 자유롭게 원하는 요금제로 사용 가능합니다. 

 

 

자급제폰을 구매할 때는 오픈마켓에서 구매하는 게 유리한데 각종 카드 할인 혜택(10~20%)을 적용받고 24개월 무이자 할부 결제를 한다면 한 번에 목돈이 나간다는 부담을 조금 덜 수 있습니다.

 

 

 

만약 자급제폰을 구매 후 대형 통신사(SK, KT, LG U+) 요금제를 이용한다면 선택 약정 25%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으며 그것도 부담스러우시면 알뜰요금제를 사용하셔서 통신비를 대폭 절약할 수 있습니다.

 

알뜰요금제

 

 

알뜰요금제에서는 월 3만 3천 원이라는 가격에 LTE 무제한 요금제 상품도 있기 때문이죠. (제휴카드로 요금 추가 할인 가능)

 

 

 

 

2. 공시지원금 외에 대리점 지원금이 있는 일명 성지에서 구매하기.

 

앞서 설명한 것처럼 국가정책적으로 정해진 지원금은 두 가지입니다.

 

 

 

1) 공시지원금: 단말기 출시가에서 할인

2) 약정할인(선택할인): 약정기간 동안 25% 요금할인

    * 1), 2) 중복은 안됨

 

 

 

공식적으로는 이 외 지원금을 줄 수 없지만 일부 대리점에서 자신의 이익(개통장려금)의 일부를 고객에게 지원금 형태로 돌려주는 곳이 있는데 주로 성지라고 불리는 곳들입니다.

 

 

 

하지만 사실상 불법지원금 형태이기 때문에 암거래를 연상케 할 정도로 은밀하게 거래가 이루어지며 또 대리점마다 지원금이 다 다르기 때문에 잘만 찾으면 휴대폰을 가장 쌀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본인 지역의 휴대폰 성지가 어디인지 찾고 싶으면 뽐뿌의 휴대폰 포럼이나 네이버 카페 옆커폰 같은 커뮤니티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1번과 2번 중 어떤 방법이 더 휴대폰을 싸게 구입할 수 있는지는 어떤 기종이냐에 따라 갈릴 것 같습니다.

 

 

공시지원금을 많이 주는 기종 같은 경우에는 자급제보다 성지에서 구매하는 게 더 저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핸드폰을 구매할지 기종을 정하고 어떤 요금제를 사용할지를 정해서 1번과 2번 사이에 고민 후 합리적인 선택을 하셔서 꿀매 하시길 바랍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