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자전거 기어 변속법에 대해 알아보자
1. 변속은 체인이 돌아가는 상태에서 하기
변속은 말그대로 속도를 변화한다는 뜻인데 그 속도를 위한 체인이 멈춰진 상태면 변속이 제대로 되지 않겠지요~?
2. 변속하는 순간에는 힘 주지 않기.
변속할때 너무 강한힘으로 페달을 밟으면 소음과 함께 변속이 삐끄덕 거리면서 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힘을빼고 부드럽게 변속하는게 구동계 수명도 오래가고 좋습니다.
3. 변속의 기본 원칙은 그 기어가 필요하기 전에 미리 변속하는 것.
한 두 수 앞을 먼저 내다보고 내리막길이 시작될 것 같은 코스에서는 미리 기어비를 높여주고 내리막 경사도가 높아질 구간이 보이면 미리 기어비를 내려주는 것을 얘기 하겠죠?
4. 체인은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스포츠는 효율성이죠! 자전거에서는 체인과 기어가 일직선이 되도록 하는것이 에니지 전달에 가장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5. 환경에 따라 가장 적절한 기어를 찾아야 한다.
물론 개인마다 선호하는 변속방식이 있으나 길의 상태, 바람의 방향이 맞바람인지, 오늘 다리가 가벼운지 등의 따라 분당 70~80이상의 페달을 돌릴 수 있는 기어비를 찾아야한다.
6. 업힐때는 미리 변속하라.
업힐구간에서도 급경사 코스에서는 미리 기어비를 낮춰서 급경사 코스에 대비해야한다.
체인이 압력을 많이 받을 상태에서는 변속하기가 힘들어 강제 끌바행이 될 수 도 있다.
7. 효율적으로 변속하라.
페달질 할때 다리가 헛 돌아선 안되고 그렇다고 너무 무겁게 페달질 해서는 안된다.
부드럽게 페달질 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기어변속을 해야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