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좋아하는 작품의 웹소설 작가 수입은 어떻게 될까요?
저도 어려서부터 판타지 및 무협소설 같은 장르소설은 책 대여점에서 미친 듯이 대여해서 읽었던 때부터 웹소설 작가 수익이 어떻게 될지 굉장히 궁금했었거든요.
요즘 예능방송에서 보면 기안84, 김풍, 강풀, 조석 등 이름만 들어도 알법한 유명한 웹툰 작가들이 큰 인기와 함께 월 억 단위의 수입을 얻는다는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는 이 시대에서 우리 웹소설 작가 수입은 아직까지는 웹툰 시장에 비해 대략적인 수익이 어떻게 되는지 베일에 쌓여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보통 웹소설의 주요 비즈니스 모델은 각 연재 플랫폼에 (조아라, 문피아, 카카오페이지 등) 코인을 충전하여 회차별로 결제하여 읽는 유료연재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이런 형태도 2019년부터 '나혼자만 레벨업'과 같은 웹소설이 웹툰화 되며 큰 성공을 거둔 사례가 생긴 이후로 웹툰 독자들이 웹소설로 많이 유입되었고 그만큼 웹소설 작가 수입 크기도 커져 이전보다는 수익구조가 많이 좋아졌다고 합니다.
- 웹소설 작가 수입 구조
1. 유료 결제금액 정산 수익
웹소설작가의 가장 큰 파이를 차지하는 수익이며 플랫폼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략적으로 7:3 정도의 비율로 수익이 배분되며 웹소설 작가 쪽이 7, 플랫폼이 3을 나눠가져 간다고 합니다.
(여기서 또 특정 플랫폼에서 독점으로 연재하는 조건의 계약이 이루지거나 웹소설 작가가 매니지먼트에 소속되어있다면 또 배분조건이 소폭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단순하게 예를 들자면 1편당 100원의 결제가 이루어지니 구독자 1,000명이 결제를 하게 된다면 웹소설 작가 하루 수입은 7만 원의 수익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2. 미디어 믹스 수익
미디어 믹스 수입이란 웹툰으로 치자면 드라마나 영화로 제작되어 발생되는 수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웹소설은 아직 드라마나 영화화되어 성공한 케이스는 그리 많지 않고 웹소설에서 웹툰화로 미디어 믹스 수익이 발생합니다.
또한 부가적으로 성공한 웹툰화 된 작품이 역으로 웹소설 판매량의 증가로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ex) 드라마 '해를 품은 달'이 큰 성공을 이루면서 소설책'해를 품은 달' 또한 판매량이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이런 미디어 믹스를 가장 활발하고 적극적으로 하는 플랫폼은 카카오페이지입니다.
3. 종이책 단행본 발행 수익
종이책 발행 같은 경우에는 수익을 바라고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자신의 독자들을 위한 팬서비스 차원으로 라이트노벨 형식의 단행본 종이책을 발행하여 소장용으로 가질 수 있게 한정적으로 판매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렇게 웹소설 작가 수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물론 모든 분야가 그렇듯이 상위 티어 웹소설 작가 수입 역시 억대 연봉을 상회하는 수익을 내며 큰돈을 벌고 있지만 그 내면을 더 살펴보면 대부분의 웹소설 작가들이 글만으로 먹고살기는 힘든 상황이 대부분입니다.
(제가 더 알아보니 카카오페이 기준 상위권에 올라가있는 작품의 한달 정산금이 1천~2천만원정도 되더라구요)
따라서 웹소설 연재를 투잡으로 하다가 어느 정도 궤도에 올라오면 전업 작가로 전향하는 경우를 강력 권한다고 하네요.
저는 웹툰처럼 웹소설도 유명 작가들은 방송에도 나오고 영화나 드라마화도 되어 많은 웹소설 작가 지망생들이 생기고 웹소설 작가 수입의 처우도 점점 더 좋아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커진 시장만큼 좋은 웹소설 작품들이 많이 탄생하여 저 같은 웹소설 고인 물 독자들의 눈을 즐겁게 해 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웹소설 작가 수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웹소설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소설추천 쩐의전쟁보다 독한 사채왕의 천재손자 2020년 11월 (6) | 2020.11.22 |
---|---|
퓨전 무협같지만 전통무협의 계보를 잇는 '시한부 천재가 살아남는 법' (10) | 2020.11.16 |
달콤한 솜사탕 같은 카카오페이지 로맨스웹소설 '뱀 가문의 막내딸입니다' (2) | 2020.11.05 |
마음에 안들면 다 쓸어버리는 사이다 헌터물 귀환자생활백서 (0) | 2020.11.04 |
군대재입대 하고싶은 사람은 봐야하는 '고물수집으로 무한성장' (2) | 2020.11.02 |